2월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곧 3월이 오는데요. 3월에는 새 학기도 시작되고 슬슬 겨울이 떠나가는 달이죠.

또, 우리나라의 해방기념일인 3월 1일, 삼일절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삼일절은 국가적으로 인정되어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는데요. 그만큼 나라에 의미 있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3·1절 (三一節,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ay)

삼일절의 역사

삼일절은 일제강점기부터 일본에게 받아온 오랜 식민지 생활을 끝마치고, 나라를 독립적으로 되찾은 역사적인 날입니다. 1919년 3월 1일 일본의 식민 통치에 맞서 싸운 겨레의 항일 민족 독립운동입니다.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의 독립 선언서 낭독을 시작으로 3월 1일에 시작된 독립 만세 운동은 2달 뒤인, 1919년 5월까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고 합니다. 추가적인 정보를 덧붙이자면, 삼일절의 정식 명칭은 독립선언일이었므며, 독립절, 혁명기념일 등의 명칭이로 불렸었습니다. 정부에서는 이와 같은 역사적인 독립운동을 기념하기 위해서 1949년 10월 1일에 국경일로 지정하였습니다. 하여, 오늘날까지 공식적으로 공휴일인 것이죠. 오늘날, 삼일절에는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쳐 돌아가신 애국 운동가들을 위하여 추모와 묵념하고 그들을 기념하며 가구마다 태극기를 게양합니다.

 

태극기 게양법

국기 게양시간은 아침 7시부터 저녁5시까지 다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국기 게양법은 경축일인 삼일절에는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게양합니다.
태극기를 다는 것은 크게 2가지로 분류되어지는데요. 태극기를 게양하거나 조기를 게양합니다. 태극기를 게양하는 날은 대표적으로 5대 국경일(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과 국군의 날 및 정부 지정일입니다. 6월 6일 현충일을 제외하고는 모두 태극기를 다는 것으로 생각하면 쉽습니다.
조기를 다는 날은 현충일, 국장기간, 국민장 및 정부 지정일입니다. 조기는 태극기 세로만큼 내려서 게양합니다.

출처 : 위키백과

삼일절 노래

‘3·1절 노래'는 1946년에 문교부 장관 안호상이 노래를 의뢰였고, 위당 정인보의 3·1절 노래에 당시의 숙명여대 음악과 강사였던 작곡가 박태

현이 곡을 작곡 하였다고 합니다.

 

 

‘3·1절 노래’ 정인보 작사/박태현 작곡

'기미년 3월 1일 정오
터지자 밀물 같은 대한 독립 만세
태극기 곳곳마다 3000만이 하나로
이 날은 우리의 의요 생명이요 교훈이다
한강물 다시 흐르고 백두산 높았다
선열 하 이 나라를 보소서
동포야 이 날을 길이 빛내자’

삼일절과 관련된 영화

눈길 (2017)

일제강점기에 위안부로 끌려간 어린 소녀들의 이야기

항거: 유관순이야기 (2019)

1919년 3월 1일 서울 종로에서 시작된 만세운동 이후 고향 충남 천안 병천에서 아우내 장터 만세운동을 주도한 유관순이 3평도 안 되는 서대문 감옥 8호실에 갇혀 보낸 1년간의 이야기를 그린다.

아이 캔 스피크 (2017)

실존 위안부 생존자들에 바탕을 둔, 일제강점기 때 강제로 끌려가 위안부 생활을 해야 했던 할머니 '옥분'의 이야기

동주 (2016)

연필 끝으로 독립을 외쳤던 시인 윤동주와 그의 친구 송몽규 선생의 우정과 삶을 그린 이야기

귀향 (2016)

15살 나이에 끌려간 위안부 피해자인 강일출 할머니의 실화를 모티브로 제작된 영화

암살 (2015)

1933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운동가들이 암살작전을 펼치는 이야기

덕혜옹주 (2016)

대학제국의 마지막 황녀인 덕혜옹주의 삶을 담은 작품

밀정 (2016)

일제강점기 시대를 빼앗긴 나라를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우는 의열단의 무장투쟁운동단체의 이야기

매년 기념하는 국가 기념일인 3·1절이지만, 매년 독립적인 나라로 탄생하게 해 주신 분들께 경건한 마음으로 기념하는 의미 있는 삼일절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3·1절의 의미와 노래, 태극기 게양법과 삼일절과 관련한 영화를 추천으로 글을 마치겠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